00000-c22.workers.dev

자퇴절차,검고 수능 고1입니다 자퇴를 하고 싶은데 자퇴 절차를 자세하게 알고 싶어요 그리고

2025. 4. 13. 오전 10:50:03

자퇴절차,검고 수능 고1입니다 자퇴를 하고 싶은데 자퇴 절차를 자세하게 알고 싶어요 그리고

고1입니다 자퇴를 하고 싶은데 자퇴 절차를 자세하게 알고 싶어요 그리고 이번년도에 자퇴를 하면 내년에 검정고시와 수능 둘 다 볼 수 있나요? 자퇴 절차 정말 자세하게랑 내년 검정고시 수능 둘 다 가능한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1) 고등학교 자퇴 절차 – 자세하게 안내드릴게요

자퇴는 단순히 학교를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공식적인 행정 절차를 거쳐야 해요. 아래 단계를 참고해 주세요.

  1. 보호자와 상담 (필수)

  2. 자퇴는 미성년자의 경우 보호자(부모님 등)의 동의가 꼭 필요합니다. 학교에서는 부모님과의 상담을 반드시 요구해요.

  3. 학교에 자퇴 의사 전달

  4. 담임 선생님이나 생활지도부에 자퇴 의사를 먼저 전달합니다. 이후 상담 일정이 잡힙니다.

  5. 학교 측과 면담

  6. 담임 선생님, 상담교사, 교감 혹은 교장 선생님과 면담을 하며 자퇴 사유를 설명합니다.

  7. 진로계획이 뚜렷하면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집니다.

  8. 보호자 면담 및 동의서 제출

  9. 부모님과의 면담 후, 자퇴 신청서 및 보호자 동의서를 작성해 제출합니다.

  10. 학교장 승인 후 자퇴 처리

  11. 교장이 최종 승인하면 자퇴가 완료됩니다. 이후 ‘자퇴 확인서’가 발급돼요.

자퇴까지는 보통 2~3주 정도 소요될 수 있어요. 학기 중이든 방학 중이든 신청은 가능하지만, 시기와 관련된 학적 처리 등을 학교와 꼭 확인하세요.

2) 내년에 검정고시 + 수능 둘 다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가능합니다!

단, 시기와 자격 조건을 잘 맞추셔야 해요.

✔ 검정고시 응시 조건

  • 자퇴 후 6개월 이상 경과해야 다음 검정고시에 응시 가능해요.

  • 예를 들어 2025년 4월(1회차) 검정고시를 보려면 2024년 10월 이전에 자퇴해야 합니다.

✔ 수능 응시 조건

  • 고졸학력 보유자(또는 그에 준하는 자)여야 해요.

  • 즉, 검정고시 합격 후 수능 응시가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 올해(2025년 4월 이전)에 자퇴하면

  • 내년(2026년)에 4월 검정고시 + 11월 수능 모두 응시할 수 있어요.

  • 단, 검정고시 합격 → 수능 응시 자격 획득 순서로 진행됩니다.

추가 팁

  • 영어 공부나 수능 과목 공부는 지금부터 차근차근 시작하시는 게 좋아요.

  • 검정고시 대비는 기본 개념 중심으로, 수능은 기출 중심으로 접근하시면 돼요.

  • 온라인 강의(이투스, 메가스터디 등)나 EBS 강의도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의 길이 지금보다 더 나은 선택이 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할게요.

포기 아닌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시는 만큼, 자신감을 갖고 천천히 계획 세워보세요.

채택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