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질문 아니 화폐의 가치가 다른 나라에 비해 depreciate 하면 왜 수출이
아니 화폐의 가치가 다른 나라에 비해 depreciate 하면 왜 수출이 늘죠???? 예시 들어서 제발 설명 자세히 하주세오ㅠㅠ
화폐가 다른 나라에 비해 평가절하(depreciate)되면, 우리나라 제품이 외국 시장에서 더
저렴해지기 때문에 수출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1. 평가절하의 기본 개념
우리나라 화폐(예: 원)의 가치가 다른 나라 화폐(예: 달러, 유로)에 비해 하락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1달러당 원화 가격이 원래 1,200원이었다가 1,000원으로 떨어지면,
원화는 평가절하된 것입니다.
* 효과: 평가절하가 되면 우리나라 제품의 가격이 외국 화폐 기준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2. 수출에 미치는 영향
가격 경쟁력 강화
외국에서 우리나라 제품을 구매할 때 필요한 외국 화폐 단위의 가격이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원화 120,000원이 달러로 약 100달러였던 제품이 평가절하 후 120,000원이 120,000원/
1,200원(환율 개선 전, 약 100달러)에서 120,000원/1,000원(평가절하 후, 약 120달러)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실제로는 반대입니다.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평가절하 전 1달러=1,200원일 때 미국 소비자가 우리나라 제품을 살 때
100달러(=120,000원) 지불해야 한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런데 환율이 1달러=1,000원으로 바뀌면, 같은 제품을 미국 소비자가 원화 가격 그대로
120,000원을 받고 계산하면 이제 120,000원 ÷ 1,000원/달러 = 120달러가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환율 변동에 맞춰 가격 조정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우리나라 제품이 외국에서 상대적으로 싼 가격에 판매되도록 재설정되어야 소비자들
이 구매를 늘리게 됩니다.
수출 증가 유인
외국 소비자 입장에서 가격이 내려가면, 같은 가격에 더 많은 제품이나 더 나은 조건을 제공받는 느낌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생산된 스마트폰이 평가절하 후 외국 시장에서 더 저렴하게 팔릴 수 있으므로,
미국 소비자들이 더 많이 구매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수출이 늘어납니다.
3. 구체적인 예시
한국 자동차의 경우
* 상황 가정
- 원래 환율: 1달러 = 1,200원
- 평가절하 후 환율: 1달러 = 1,000원
한국 자동차 회사가 미국에 판매하는 자동차의 가격이 원화 기준으로 36,000,000원이라고 가정해봅
시다.
* 가격 계산 (평가절하 전)
- 외국 가격 = 36,000,000원 ÷ 1,200원/달러 = 30,000달러
* 가격 계산 (평가절하 후)
- 동일한 원화 가격이라면, 외국 가격 = 36,000,000원 ÷ 1,000원/달러 = 36,000달러
하지만 현실에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 자동차 회사가 미국 시장에 맞춰 가격을 인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자동차를 경쟁력 있는 가격인 29,000달러에 판매하기 위해 원화 가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국 소비자들은 평가절하 덕분에, 우리 자동차를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미국 내 판매량 증가로 이어집니다.
판매 증대 효과
원래 가격으로 판매하면 외국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 때문에 구매를 꺼리겠지만, 평가절하로
인해 가격 인하 조정이 가능해지면, 외국 소비자들의 구매심리가 자극되어 수출이 증가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 채택 부탁드려요~~~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